본문 바로가기
관심분야/반도체산업

반도체 공정 – 산화 공정

by Ignition-Inform 2022. 6. 13.
반응형

반도체 공정 산화 공정

초기 웨이퍼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 상태이다. 산화공정은 도체와 부도체의 성격을 모두 가진 반도체의 성질로 만드는 기초 작업이다. , 웨이퍼의 보호막과 절연막 역할을 하는 산화막(SiO2)을 형성하는 공정이다.

산화막

 

산화막의 역할

1) 소자 보호와 격리

-  웨이퍼 표면에 성장된 이산화 규소는 실리콘에 민감한 소자를 보호하고 격리하기 위해 효과적인 장벽의 역할을 한다.

 

2) 표면 보호

- 실리콘의 표면 밀도 감소: 웨이퍼 표면에 있는 실리콘의 표면 상태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산화물을 형성하여 외부에서의 오염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반도체의 누설 전류 등을 제거한다.

-  SiO2 마지막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과 공정 손실로부터 Si를 보호한다.

3) Layer 사이의 절연막 역할

- Layer 사이에 절연을 시키기 위해 산화막을 유전체로 사용한다.

 

산화막이 갖춰야할 특성

- 산화막 내부에 결함이 없는 완전한 절연막

- 실리콘과의 계면의 전기적 특성이 안정적

- 신뢰성 확보(낮은 두께, 높은 항복 전압, 높은 축전량)

 

산화 공정의 종류 및 특징

 

산화 공정 방식

1) Furnace 방식

열적 산화 공정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서 Vertical, Horizon 2가지가 있지만 보통 Vertical 형식이 많이 사용된다.

- Vertical Furnace 최대 200여장의 Wafer를 처리할 수 있다.

> 800~1200 ℃의 고온에서 진행

- 양 끝에 Dummy Wafer를 그 사이에 Process Wafer를 놓고 Process 진행

> 양 끝단은 고온가스의 출입구로 균일한 산화막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Dummy Wafer 배치

> Gas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균일한 산화막 형성 가능

Furnace 내 Gas Flow

 

* Batch type: Chamber에 한 장의 Wafer가 아니라 여러 장의 Wafer를 처리하는 방식

 

2) RTP 방식

Rapid Thermal Process의 약자로 Wafer를 아주 빠른 시간 안에 가열해주는 방식이다.

- Single Type으로 Furnace 방식에 비해 생산성이 낮다.

- 상부의 Halogen LampWafer를 가열한다.

- 열처리 시간이 짧기 때문에 Wafer 표면에 균일하게 열전달이 안될 수 있어 뒤틀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
 

* Single Type: ChamberWafer한 장씩 처리하는 방식

 

반응형